본문 바로가기
금융경제

파운드리 팹리스 IDM 이란? 반도체 산업의 이해를 위한 필수지식

by butak 2023. 7. 11.
반응형

경제관련 뉴스를 보다보면 반도체 분야에서 항상 나오는 용어가 바로 파운드리, 팹리스, IDM 입니다. 오늘은 이 3가지 용어에 대해서 기본적인 개념을 잡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파운드리 Foundry 란?

 반도체는 쉽게 생각해서 설계 파트와 생산 파트가 나뉘어져 있는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생산 파트를 전문적으로 맡아 반도체를 제조하는 업체를 바로 파운드리라고 합니다. 뉴스를 보다보면 3나노 2세대, 4나노 핀펫 공정 등 다양한 용어가 등장하는데 그만큼 고도화된 반도체를 만들어 내는 것이 많이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에 엄청난 기술력을 필요로 합니다. 반도체의 소자가 고 직접화 되면 그만큼 불량율도 높아지기 때문에 수율도 안나오기도 합니다. 더군다나 최근에는 인공지능, 전기차 등의 이슈로 인해 수요는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파운드리 업체는 대표적으로 삼성, TSMC, 글로벌파운드리 등이 있습니다.

 

 

2. 팹리스 Fabless 란?

팹리스는 파운드리와 반대로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제조 시설이나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기업을 말합니다. 사실 반도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잘 만드는 업체에게 위탁을 주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기도 합니다. 애초에 팹리스와 파운드리가 나뉘게 된 것도 결국에 비용 문제이기도 하죠. 팹리스의 대표적인 업체로는 퀄컴, NVDIA, 애플, 테슬라 등이 있습니다.

 

 

3. IDM (Integrated Device Manufacture) 란?

IDM은 위에서 설명한 파운드리와 팹리스를 모두 담당하는 업체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업체로는 삼성(DS부문), 인텔, 마이크론, 웨스턴 디지털 등이 있으며 AMD는 원래 IDM 기업이었으나 팹리스 회사로 전환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