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PL4

물류대행 아웃소싱의 종류, 3PL과 풀필먼트의 차이점 물류 아웃소싱의 종류를 알아보자물류 3PL과 풀필먼트의 차이점은?요즘 많은 기업이 물류 업무를 외주로 맡기기 위해 3PL(삼자물류)과 풀필먼트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물류 업무를 택배 물류로 주로 인식했지만, 최근에는 그 범위가 크게 확장되었습니다. 오늘날의 물류는 제품이 공장에서 생산되어 소비자에게 도달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합니다. 3PL 물류대행이란?3PL(Third-Party Logistics)은 1PL, 2PL 방식을 대체하는 물류 운영 방식입니다. 쉽게 말해, 기업의 전체 물류 업무를 외부의 물류 전문 기업에 아웃소싱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외주 물류를 이용하는 것을 넘어, 원가 절감, 전문화된 물류 프로세스, 체계적인 협력 관계 구축, 전략적이고 수준 높은 서비스 제공 등.. 2024. 6. 18.
물류도급, 아웃소싱이 필요한 이유! 알고 넘어가기 높은 생산성/효율과 저비용의 잠점을 잡을 수 있는 아웃소싱전문적인 아웃소싱 업체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은 UP! 비용은 DOWN! 생산제조나 물류 관련 사업을 운영하다 보면 하청이나 도급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사실 이 두 단어는 사업 운영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도급이란 무엇일까요?  도급과 하청의 정의도급이란 특정 프로젝트의 특정 업무를 완료하고 그에 따른 보수를 받는 행위를 말합니다. 물류센터의 경우 포장, 검수, 피킹, 패킹, 입고, 출고 등 다양한 라인에서 업무가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입고 파트를 다른 업체에 위탁하는 것이 바로 도급입니다. 하청은 흔히 하도급이라고도 부르며, 도급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도급이 필요한 상황도급이 필요한 상.. 2024. 6. 16.
물류 피킹의 종류 DPS, DAS, PAS 피킹 Picking 오늘은 물류 프로세스 중에서 피킹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 물류에서 말하는 피킹(Picking)은 주문이 들어온 제품을 찾아내어 출고나 배송을 위해 모으는 작업을 말합니다. 보통 창고에서 이루어지며 하나의 주문에는 여러가지 제품이 포함될 수 있어 어떻게 피킹 프로세스를 운영하느냐에 따라 작업 효율이 달라집니다. 피킹지시서 피킹 작업은 주문이 들어와 접수가 완료되면 시작됩니다. 이러한 주문 정보를 바탕으로 피킹을 위한 지시서가 작성되는데 여기에는 주문된 상품의 목록, 갯수,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업자는 피킹지시서를 보고 창고에서 해당 제품을 찾아내어 담는 과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피킹 작업의 효율성 규모가 작거나 물류 산업 초기에는 피킹작업 자체가 단순화되어 .. 2023. 7. 6.
떠오르는 물류산업을 위한 물류용어 정리하기 개인적으로 유망받고 있는 산업군 중에 하나가 바로 물류산업이 아닐까 싶습니다. 온라인 네트워크가 발달하고 핀테크가 발전하면서 더욱 중요하게 각광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보통 물류라고 하면 택배? 배송? 정도로만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생각보다 다양한 분야와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류산업은 이렇게 나뉜다고 볼 수 있어요 1. 운송 물류 일반적으로 물류라고 하면 생각나는 분야입니다. 다루는 제품을 A에서 B로 이동시키는 데 관련된 모든 활동을 지칭합니다. 보통 도로, 철도, 항공, 해운 등 여러 이동 수단을 통해 이루어지는 활동입니다. 2. 저장/보관 물류 제품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물건을 저장하거나 보관하는 창고의 의미를 벗어나 재고 관리, 제품 분류, 포장 작.. 2023.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