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인력도급으로 사업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고?
사업을 운영하다 보면 외주 또는 아웃소싱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사업의 규모와 관계없이,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아웃소싱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대기업의 경우 1차, 2차, 3차 벤더사로 업무를 위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큰 규모의 사업일수록 모든 업무를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물류와 제조 산업에서는 많은 인력과 리소스가 필요하여 도급 아웃소싱을 활용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도급의 정의
도급이란 특정 업무를 완성하는 것을 계약하고, 그 결과에 대해 보수를 지급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하청을 주거나 위탁을 맡기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물류에서 A브랜드의 제품 100개를 내일까지 포장해야 하는 업무가 있다면, 도급업체는 이를 완성하고 100개 포장에 대한 보수를 받습니다. 이러한 계약을 도급계약이라 하며, 업체와 업체 간뿐만 아니라, 업체와 개인, 개인과 개인 간에도 성립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근로계약과 달리, 프리랜서 계약이 도급계약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도급과 아웃소싱의 장점
그렇다면 도급 방식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도급 없이 모든 업무를 자체적으로 처리하려면, 그에 따른 인력과 리소스가 많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생각하면 도급을 주는 것이 비용적으로 손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오히려 비용 절감과 효율성 증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PL 물류 회사를 생각해 봅시다. 사업 초기에는 규모가 작았지만, 점차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입고, 출고, 피킹, 분류, 반품, 검수 등 다양한 라인에 과부하가 걸리기 시작합니다. 이때, 출고 파트 일부를 도급계약으로 분담하면, 출고에 전문성을 가진 도급업체가 더 나은 효율을 발휘하게 됩니다. 이처럼 도급 업무는 특정 파트를 전문적으로 담당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도급 아웃소싱은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특정 라인에 업무가 일시적으로 늘어날 때, 설비 투자가 부담스러울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매우 효과적입니다.
인력 도급의 중요성
신규직원 고용은 많은 불확실성을 동반합니다. 고품질의 전문 인력을 채용하기 위해서는 공고 게시, 인력풀 활용, 심사, 면접, 평가 등의 과정에 많은 리소스가 투입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기업이 인력도급 시스템을 활용합니다. 인력도급 업체는 유연한 인력 관리를 통해 현장에 필요한 인원을 적절히 조절하여 탄력적인 운영을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도급과 아웃소싱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면, 사업의 성장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핵심 역량에 집중하고, 보다 높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류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게차 장비 물류센터 필수 장비의 종류 알아보기 (0) | 2024.06.16 |
---|---|
물류도급, 아웃소싱이 필요한 이유! 알고 넘어가기 (0) | 2024.06.16 |
물류 피킹의 종류 DPS, DAS, PAS (0) | 2023.07.06 |
물류산업에 대한 이해 : 3PL 프로세스 (0) | 2023.06.23 |
떠오르는 물류산업을 위한 물류용어 정리하기 (0) | 2023.06.19 |